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운영체제이다. 그 중에서 특정 사용자를 묶어서 그룹화를 어떻게하는지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현재 3명이 로그인되어 있다.
같은 그룹에 속한 사람들은
egoing - 개발자
k8805 - 개발자
leezche - 디자이너
개발자들은 같은 그룹에 묶고 디자이너는 개발자 그룹의 파일을 못건들이게 하려면 그룹화해서 권한을 부여해주면 된다.
그룹같은 기능은 자주 사용할 일이 없어서 기억할 필요는 없다. 그냥 검색을 통해서 해결하면 된다!
useradd -G {group-name} username
위와 같은 명령어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를 만들어서 그룹화시키고 싶을 때 위와 같은 명령어를 치면 된다.
groupadd {group-name}
위와 같은 명령어는 일반 사용자는 사용할 수 없다.
* sudo !! //느낌표 2개는 직전에 사용했던 명령어를 의미한다.
/etc/group 라는 디렉토리는 현재 리눅스에 존재하는 group을 모아두는 디렉토리이다.
usemod (usermodify) 이 명령어는 기존에 있는 사용자를 한 그룹에 묶을 때 사용한다.
sudo usermod -a -G developer egoing
sudo usermod -a -G developer k8805
와 같이 명령하면 해당 사용자가 해당 그룹에 속하게 된다.
하지만 예제에서는 현재 디렉토리의 그룹이 root에 속해있다. 이를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할 까?
sudo chown root:{group-name} 으로 바꾸면 된다.
어렵지는 않은데 생각보다 헷갈리게 된다.
1. 묶고 싶은 사용자들을 먼저 group화 한다. group을 만든다.
2. 현재 디렉토리의 group을 위에 만들었던 group으로 바꾼다.
3. 해당 디렉토리에 권한을 확인한다.
4. 디렉토리의 group과 사용자의 group 디렉토리 group에 대한 권한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인터넷, 네트워크, 서버 (0) | 2021.02.24 |
---|---|
리눅스: 권한 (0) | 2021.02.24 |
리눅스: 사용자 (0) | 2021.02.24 |
리눅스: 프로세스와 실행 (0) | 2021.02.23 |
리눅스: 디렉토리 (0) | 202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