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이번시간에는 생성자와 소멸자에 대해서 정리할 것이다. 생성자와 소멸자는 꽤나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이기 때문에 꼭 기억하면서 넘어가자. 객체가 생성되고 소멸될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것이 생성자와 소멸자이다. 1. 객체의 메모리 할당 2. 생성자 호출 3. 객체 사용 4. 소멸자 호출 5. 객체의 메모리 해제 위와 같은 순서로 객체가 생성되고 소멸된다. 특징 - 생성자와 소멸자는 객체가 생성, 소멸되는 시점에서 자동으로 호출되는 멤버함수이다. - 생성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객체에 필요한 초기화를 위해 사용하고 소멸자는 객체를 정리하기 위해 사용한다(메모리 해제와 같은) - 생성자와 소멸자는 리턴 값이 없다. - 생성자는 딱 한번만 호출한다. - 생성자는 중복이 가능하다(오버로딩). 한 클래스에 여러개가 정의..
Local Area Network 작은 지역을 다루는 네트워크망이이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와이파이, 혹은 무선 랜이 있다. LAN의 장점 1. 각종 기기의 애플리케이션 접근을 공유한다. 2. 연결된 사용자끼리 파일을 주고 받는다. 3. 메일이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끼리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IEEE 802.11 이게 표준이다. 여기에 정의가 되어있는 것에 따라서 각 제조사가 만든다. 이 표준 기술이라고 하는게 정의하고 있는 내용들도 많고 문장 하나의 해석이 각 제조사 상품을 검증을 하지 않는 이상 조금씩 다를 수 있다. IEEE 802.11라는 표준에 대해서 잘 인증이 되는지 확인해주는 인증 기관이 WIFI이다. Bus Topology(버스 위상 구조, 버스 네트워크) 버스 토폴로지..
지난 시간에는 스위칭 방식과 WAN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Celluar에서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해보자. Cellular의 원리 네트워크의 형태와 특징이 cell처럼 조직화 되어있다는 뜻이다. 다른 말로 이동통신 네트워크라고 하면 된다(흔히들 말하는 LTE, 5G라고 보면 된다) * Cell? 세포들은 조직적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런 형태로 네트워크의 모양이 세포처럼 되어있다는 뜻이다. 하나의 기지국이 하나의 Cell을 담당하고 있다. 다른 말로 하나의 기지국이 담당하고 있는 영역이라고도 한다. 왜 이런 Cell의 형태를 띄고 있는가? - 네트워크 용량을 늘려서 신속하고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서 그렇다. * 이전에는 무조건 넓은 영역을 커버하려면 높은 곳에 송신 타워를 키워서 네트워크를 구성했다..
이번 시간에는 WAN의 개념과 구조에 대해서 정리할 것이다. WAN을 설명하기 전에 LAN, PAN은 무엇인가? LAN(Local area network)은무선랜, 와이파이를 무선 랜으로 말하고 있다. PAN(Personnel area network)은 더 작은 사이즈의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무선 이어폰, 무선 키보드가 있다(블루투스, NFC). 즉, 네트워크의 사이즈에 따라서 구분해놓은 것이다. WAN은 wide area network라고 말하며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예는 LTE, 5G가 있다.(MAN이라고도 한다) * 네트워크의 종류를 카테고리의 크기에 따라서 목록화했을 때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최근들어서는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기술의 범주와 기능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 여기에서 다..
이번 시간에는 멀티 플렉싱의 개념과 종류, 비슷하지만 다른 종류의 플렉싱에 대해서 정리할 것이다. 먼저 멀티플렉싱이란 무엇인가? 간단하게 예를 들자면 같은 시간, 같은 극장에서 여러개의 상영관이라는 다른 공간에서 동시에 영화를 상영하는 것과 비슷하게 보면 된다. 네트워크를 이용할 때,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서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왜 사용할까? 목적은 리소스를 적절하게 나눠서 사용하기 위해서 멀티 플렉싱이라는 개념이 나왔다. * 리소스의 단위를 채널이라고 부른다(채널은 분야에 따라서 다르게 부를 수 있다). 전송이 가능한 리소를 어떻게 나눠서 사용하는가? 실제 링크는 하나지만 여기에는 N개의 로지컬한 채널이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멀티플렉싱을 할 것인가?? 1. FDM ..
이전에는 정보를 어떻게 시그널 형태로 잘 전송할 것인지 물리적인 채널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배웠다. 이번엔 링크에 대해서 배울 것이다. 처음에는 구분하기가 힘들다. 데이터 링크는 지점에서 지점으로 생각하면 된다. 데이터 링크란? : 통신에서 일반적인 개념으로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할 목적을 위한 도구이다. 인터넷이라고 하는 것은 결국 그것이다. 네트워크 간에 연결하는 것이 결국은 인터넷이다. 정보를 어떻게 잘 보낼것인가? 이전에 배운 내용 여기에서는 하나의 링크에서 발생하는 일들을 배우는 것이다. 온갖 수많은 링크 데이터 컨트롤이 있다. 네트워크 마다 컨트롤하는 프로토콜이 다 다르다.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어떤 시스템에서는 적용이 되어있고, 어떤 것은 안되..
이번 시간에는 클래스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적인 개념들을 구체적으로 정리할 것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접근지정자 2. 접근자함수 3. friend 함수 및 friend 클래스 4. 멤버 함수의 this 포인터 5. 분할 컴파일 1. 접근 지정자 접근 지정자를 왜 사용하는 것인가? 객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객체의 캡슐화 특징이 여기에서 나타난다. -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멤버에 대한 보호 - 중요한 멤버는 다른 클래스, 객체에서 접근 못하게 보호 - 외부 인터페이스를 위해 일부만 접근 허용 접근 지정자의 종류는 3가지가 있다. 이를 쉽게 나타낸 그림이 다음과 같다. 접근 권한 설정의 범위로는 클래스 정의 안에서 접근 지정자를 지정하면 새로운 접근 지정자가 나타날..
Top-Hat, Bottom-Hat : 특정 관심 물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알아두자. 열림, 닫힘 연산을 사용한다. Top – hat: 원래 영상에 대해서 오프닝한 영상을 다시 원래 영상에 뺀 것을 의미한다. Bottom-hat: 원래 영상에 대해서 밝은 배경의 어두운 개체 – 밝은 배경에서 어두운 객체를 뽑아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해보고 이러는 곳에 이런 변환을 사용하는구나! 열림 – 밝기 감소 – 원래 객체 크기 유지 침식 – 밝기 제거 – 원래 객체 크기 유지하지 않는다. 팽창 – 이진화를 잘 하기위해서 전처리 연산으로 top hat으로 사용했다. 배경이 균일하지 않는다. 비 균일한 배경을 먼저 균일하게 만들어주는 전처리를 사용하자. Top - hat연산 성공적 이진화를 위해 ..
harvartz의 일지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